¡Sorpréndeme!

[자막뉴스] 피 흩뿌려진 듯 붉게...알프스 만년설에 '이상 현상' / YTN

2022-07-10 3 Dailymotion

새하얀 눈이 1년 내내 쌓여있는 알프스 산꼭대기.

수 킬로미터에 이르는 눈밭이 붉게 변해있습니다.

가까이서 보니 마치 피가 흩뿌려진 것 같은 모습입니다.

바로 '빙하 블러드' 현상입니다.

프랑스 연구진은 빙하 블러드 현상의 원인으로 미세조류의 증식을 꼽았습니다.

연구진은 알프스 지역에서 눈과 흙을 채취해 분석한 결과, 바다나 호수처럼 눈 속에서도 산구아나 등 특정 미세조류의 존재를 확인했습니다.

또, 미세조류가 최근 번성한 이유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 증가와 대기오염물질 유입 등으로 분석됐습니다.

그런데 녹색의 엽록소를 가진 미세조류가 붉은색을 띤 이유는 무엇일까?

알프스에서 발견된 미세조류는 붉은색인 카로티노이드라는 색소를 갖고 있는데, 강한 햇빛, 특히 자외선으로부터 미세조류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.

즉, 빙하 블러드는 스스로를 지키려는 미세조류의 생존 본능인 셈입니다.

[에리 마레샬 / 프랑스 그르노블알프스대 연구원 : 눈 속에 있을 때, 미세조류는 빛의 강도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자외선 차단제와 같은 색소를 축적합니다. 그래서 미세조류는 근본적으로 녹색이지만, 붉은 색소라는 큰 방패 뒤에 숨겨져 있습니다.]

문제는 빙하 블러드 현상이 다시 기후변화를 악화시킨다는 점입니다.

흰색의 특성으로 인해 하얀 눈밭은 햇빛을 많이 반사하는데, 붉어진 눈밭에서는 햇빛을 덜 반사하게 돼 빙하가 더 빨리 녹게 되는 겁니다.

[알베르토 아마토 / 프랑스원자력청 연구원 : 우리는 이 미세조류가 만들어낸 붉은 색깔 때문에 눈이 더 빠른 속도로 녹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. 또한, 시간이 지남에 따라 대기 중 이산화탄소 수치가 증가하면 우리는 더 자주 붉은 눈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.]

빙하 블러드는 이산화탄소 증가라는 기후변화의 결과물인 동시에 기후변화를 더 심화시켜 악순환의 고리가 되고 있습니다.

연구진은 앞으로 빙하 블러드 현상은 더 자주 발생하게 될 것이라며, 이 현상이 주변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정밀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.

YTN 사이언스 양훼영입니다.





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
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
[전화] 02-398-8585
[메일] [email protected]

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207101140018872
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[email protected], #2424

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

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